정부R&D과제를 신청할 때, 함께 제출하는 예산편성표는 평가에도 반영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따라서, 정부지원금을 어떻게 사용할 것인지에 대한 구체적인 예산 편성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를 해도 지나치지 않습니다.
예산 편성의 주요 세목으로는 인건비, 위탁비, 장비재료 제작비, 연구활동비, 연구수당, 과제추진비 등과 간접비가 있습니다. 예산 편성 과정에서 가장 먼저 할 일은 총 사업비를 산출하는 것이고, 이후 총 사업비 중 순수 현금사업비를 산출한 다음 순수 현금 사입비를 재료비와 제작비를 중심으로 어떻게 배분하느냐가 관건이라 하겠습니다.

총 사업비는 정부 최대지원금을 정부 최대지원비율로 나누어 산출하고, 백 단위에서 무조건 올림 처리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즉, 정부 최대지원금을 정부 최대지원비율로 나누어 그 값이 307,492천원이 나왔다면 총 사업비를 308,000천원으로 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산출된 총 사업비 중 민간부담현물을 제외한 차액이 순수현금사업비가 됩니다. 민간부담현물을 구하기 위해서는 내부 인건비로 현물을 맞추는 요령이 필요합니다. 가령 월급이 123만원이라고 하면 참여개월 수 12개월에 123만원을 곱하고 여기에 참여율을 곱하게 되면, 소수점이 딸린 값이 나올 수 있습니다. 정부과제에서는 소수점이나 반올림이 원칙적으로 허용되지 않으며, 중기부와 같이 전산으로 예산을 입력하는 경우에는 에러가 발생하여 다음 프로세스로 넘어가지 않습니다.
이런 경우 과감하게 123만원의 월급을 120만원 또는 100만원으로 가지치기를 해야 하는 것입니다. 물론, 더 높은 금액으로 책정할 수도 있겠지만, 연구원 한 명에 대해 회사가 부담하는 4대보험비용을 인건비에 합산하여 계상해도 문제가 되지 않는다 해도 일일이 한 명당 지원되는 회사 부담분을 계산하는 것도 문제이고, 이렇게 계산한다고 하여 가지치기가 저절로 되는 것도 아니기 때문에 실제 회사에서 받는 급여보다 적은 금액으로 가지치기를 하여 인건비를 수정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이렇게 해야 소수점 값이 나오는 것을 피할 수 있게 됩니다. 민간부담현물 값이 정해지면 총 사업비에서 민간부담현물을 뺀 나머지 값이 바로 순수현금사업비가 되고, 이 순수현금사업비에서 2천만원을 제외한 나머지 금액을 재료비와 제작비에 반씩 올리면 됩니다.
이때, 재료비가 1억원이라고 해서 1천만원 상당의 10개로 기재하는 것보다 품목당 600만원이 넘지 않고, 동일한 금액이 두 번 이상 반복되지 않도록 작성해야 사업비 조정 즉, 삭감의 칼날을 한 푼이라도 더 피해갈 수 있습니다.
한편, 위에서 2천만원을 순수현금사업비에서 제외한 이유는 간접비와 연구활동비, 과제추진비에 각각 300만원씩 배정하고 나머지 1,100만원을 공인시험비 비용으로 배정하는 것이 효과적이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놓고 보면 정부과제 예산 편성이 참 수월하고 쉽게 보여집니다. 그러나 이 작업이 왜 오래 걸리고 머리가 아픈 이유는 바로 인건비를 산출함에 있어서 그 값이 소숫점 값이 나옴으로 인해 이후에 작업해야 할 모든 예산이 다 뒤틀리기 때문입니다. 이 간단한 가지치지 전략을 몰라서 벌어지는 안타까운 상황이라 할 수 있습니다.

한푼이라도 더 많이 예산에 올려 놓으려는 욕심 때문에 버려야 할 것을 버리지 못한 채로 조급해 하다가결국은 예산 편성 작업에서 고생만 하고, 그 값이 서로 맞지 않아 포기해버리는 상황이 벌어지는 것입니다. 이 때 유용한 전략이 바로 버려야 할 것들은 과감히 버리는 '가지치기 전략' 입니다.
감사합니다.